본문 바로가기
정보

당뇨병과 당뇨합병증

by 약학박사 약박사 2023. 11. 4.
728x90

 

당뇨병,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당뇨발 등 당뇨합병증의 종류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약박사 입니다.

다가오는 11월 14일은 1923년 노벨 의학상 수상자이자 당뇨병 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캐나다 출신의 프레드릭 밴팅 교수의 생일을 기념하기위해 국제 당뇨병 연맹과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세계 당뇨병의 날 입니다.

오늘은 세계 당뇨병의 날을 생각하며 성인 10명 중 한명꼴로 앓고있는 당뇨병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23년 11월 14일. 세계 당뇨의날

우리 몸의 혈관속을 흐르는 혈액은 포도당을 머금고 각종 장기부터 시작하여 사지말단까지 에너지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그러나 혈액에 당이 너무 많이 쌓이게되면 이동이 느려지고 혈관에 찌꺼기를 남기며 이동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치를 유지하기위해 췌장이라는 기관에서 인슐린이라는 친구를 분비하여 혈액 내 당 수치를 낮추려고 합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당뇨병으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혈관질환의 이해를 돕는 이미지.

하지만 당뇨병에 걸린 환자의 경우 체내의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 내 포도당이 분해되지 못하고 고혈당인 상태가 유지되며 수많은 합병증들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당뇨병에 걸리는 원인은 무엇이 있으며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수많은 합병증들이란 어떠한것들이 있을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당뇨병을 경고하는 이미지.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의 차이

제 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면역체계가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세포를 잘못 공격해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와 젊은 성인에서 진단되는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자가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를 맞거나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여 혈당을 관리해야 합니다.


제 1형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에게 바이러스 감염,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가해졌을때로 보고있으며 예방할 수 없고 완전한 치료법이 없기때문에 인슐린 치료를 통한 평생 관리와 혈당 수치에 대한 세심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제 2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제대로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제2형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빈약한 식단 또는 고열량·고지방 ·고단백의 서구화된 식단으로 인한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제1형 당뇨병과같이 경구 약물이나 인슐린 치료를통해 혈당 수치를 관리하게 되지만 식이요법이나 운동과 같은 생활방식의 변화를 통해 완치가 될 수 있는 사례가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Epidemiology of type 2 diabetes remission in Scotland in 2019: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Mireille Captieux ,Kelly Fleetwood,Brian Kennon,Naveed Sattar,Robert Lindsay,Bruce Guthrie,Sarah H. Wild,on behalf of the Scottish Diabetes Research Network Epidemiology Group

2021년 11월 2일, 의학 저널인 플로스 메디신에 실린 스코틀랜드의 제2형 당뇨병 완화 역학 연구에서는 스코틀랜드 의료기록부에 등록된 30세 이상의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연구결과 총 162,000명의 참가자 중 5%에 해당하는 7,710명이 제2형 당뇨병으로부터 완치됐음을 발견했으며 완치가 된 사람들은 당뇨병 진단 후 다이어트나 비만 수술을 통해 체중을 감량한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이미지

 

당뇨 합병증

당뇨병이 무서운 이유는 고혈당의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등 혈당 수치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을때 신체의 다양한 장기에 미치게되는 광범위한 합병증 때문입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죽상경맥동화증 이미지
죽상동맥경화증.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심혈관계 합병증

오래된 수도관이 녹이 슬고 이물질이 침착하여 지름이 좁아지게 되면 수도관을 흐르는 물이 오염되고 종래에는 수도관이 터지게 됩니다.

혈관도 마찬가지로 혈액 속에 머물게된 포도당이 인슐린에 문제가생겨 해체되지 못한, 고혈당인 상태로 흐르게된다면 혈관막에는 콜레스테롤의 침착이 일어나고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으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게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죽상동맥경화증이라고하며 좁아진 혈관으로인해 뇌로 혈류공급이 원활하지 못할때는 뇌질환의 발생을 높이고 심장에서 분출되어 전신으로 뻗어나가야할 혈액의 이동에 문제가 생기게되면 심장근육이 두꺼워지는 심장비대 현상이 일어나며 각종 심장병의 원인이 됩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

인슐린 결핍상태가 심하여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게되면 우리몸은 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게됩니다.

이때 부산물로 생성되는것이 케톤이며 케톤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게되면 피로, 구토, 복통, 체중감소, 아세톤 입냄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할경우 혼수상태 및 죽음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눈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미지
눈의 해부학적 구조.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병성 망막병증

우리 몸의 장기는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긴다면 부족한 혈액공급을 보충하기위해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들은 기존의 혈관들같이 튼튼하지못하여 손상이 가기 쉽습니다.

 

만약 눈에있는 혈관에서 당뇨병으로인해 혈관이 좁아지게되고 신생혈관이 생기게 된다면 혈액 내의 성분이 망막으로 유출될 확률이 높아지고 이는 시력감퇴부터 시력장애등의 다양한 안과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렇게 당뇨병으로 인하여 생긴 안과질환을 당뇨병성 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신장투석에 대한 이미지
신장투석.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병성 신증

고혈당 상태가 지속된다면 어느 순간부터 얼굴과 눈, 손, 발목부위가 붓거나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것은 당뇨병으로인해 신장으로가는 혈관이 손상되어 혈액의 여과를 담당하고있는 사구체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것을 의미할 확률이 높습니다.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 노폐물인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의 수치가 올라가 요독의 원인이 되기도하며 구역감과 구토, 식욕상실, 허약감, 피로감, 가려움증, 근육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게되며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경우 평생 투석치료를 이어가야 합니다.

 

당뇨병에대한 이해를 도우기위한 당뇨발에 대한 이미지
당뇨병성 족부질환, 당뇨발.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을 앓고있는 환자가 손발저림, 감각저하, 화끈거림, 마비 등을 느낀다면 이것은 손과 발로 향하는 말초신경에 당뇨병으로 인하여 손상이 갔다는것을 의미하며 종래에는 신경섬유의 소실로인해 감각이 사라지게되면 궤양이 생기고 절단을 해야하게 됩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종류로는 복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급성당뇨홑신경병증, 근력 약화 및 통증을 불러일으키는 당뇨 근육위축증, 야한증, 방광이완증, 기립저혈압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자율신경병증, 발의 감각이 무뎌지고 혈액순환이 되지않는 당뇨병성 족부질환 등이 있습니다.

참고자료

대한당뇨병학회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 건강정보

Epidemiology of type 2 diabetes remission in Scotland in 2019: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Mireille Captieux ,Kelly Fleetwood,Brian Kennon,Naveed Sattar,Robert Lindsay,Bruce Guthrie,Sarah H. Wild,on behalf of the Scottish Diabetes Research Network Epidemiology Group

 


당뇨병과 관련하여 이어보면 좋은 건강상식

경계성 인격장애란?

 

경계성 인격장애란?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을 받았고 약을 먹으며 점점 나아졌지만 근본적인것을 해결해야 했따. 왜냐면 경계성 인격장애라는게 내 주변 사람들이 정말 힘들다고 하더라" -경계성 인격장애를 진단

goldfatherkim.tistory.com

 

트위커 증상과 같은 마약 중독을 의미하는 증상들

 

트위커 증상과 같은 마약 중독을 의미하는 증상들

안녕하세요. 약박사 입니다. 오늘은 최근 가수 지드래곤과 배우 이선균씨가 마약투약의혹이 제기되며 트위커 증상이라는 단어가 떠오르고 있어 트위커 등의 마약 중독 증상들에대해 알아볼까

goldfatherkim.tistory.com

 

아스파탐이 발암물질이라고요? 제로 음료, 제대로 알고 편하게 먹자!

 

아스파탐이 발암물질이라고요? 제로 음료, 제대로 알고 편하게 먹자!

6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2B)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라는 보도기사가 나오며 국내에 있는 모든 뉴스, 신문에

goldfatherkim.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