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이야기

| 이빨 나는 시기 | 우리 아이 언제 이빨이 날까요? 유치, 선천치, 쌍생치, 융합치, 이앓이, 우식증

by 약학박사 약박사 2023. 3. 7.
728x90

 

아기들의 이빨은 언제 나고 어떻게 나게 되는 걸까요?

이제 딸내미가 5개월차에 접어들며 이유식도 시작하고 침도 많이 흘리니 이러한 것들이 궁금해져서 찾아보게 됐습니다.

아기의 유치는 대략 7~9개월 정도쯤에 아랫니 앞에서 두개가 올라오며 돌 전후로 윗니가 4개 올라옵니다.

그 다음 아랫니와 옆니가 올라오며 15~18개월 즈음에는 대략 16개정도가 되며 24개월 전후로 큰 어금니가 나와 36개월 정도가 되면 유치열이 완성되게 됩니다.

하지만 아기들에따라 개인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빨이 나는 순서는 위와 같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기 이 나는 순서

 

개개의 치아가 만들어지는 시기는 다르며 보통 먼저 생성된 치아부터 올라오며 앞니의 경우 뾰족한 형태를 취하고있어 뼈를 뚫고 올라오기에 유리하므로 먼저 올라오지만 나머지 치아가 올라오는 순서는 다를 수 있으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12개월이 지나도 치아가 하나도 올라오지 않는다면 치과를 방문해보는것이 좋으며 이가 나기 시작할땐 치아우식증 방지를 위해 밤중수유는 되도록 끊는것이 좋고 이유식을 먹고 난 후에는 충분한 말을 마시게 하여 입안을 헹궈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엥? 우리 애는 태어날 때 부터 이빨이 있었어요!"

 

태어날때부터 이가 있는 경우도 있고 생후 1주 이내에 이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드물게 이러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런 이빨을 선천치 라고 합니다.

이러한 선천치는 무조건 발치해야만 하는것은 아니며 이는 일찍 날수록 잘 썩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거즈로 하루에 수 회를 닦아주는 등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수유로 인해 혀 밑에 궤양이 생기는 경우도 있으니 유심히 관찰해주어야 합니다.

 

 

쌍생치와 융합치

 

1개의 치아가 2개로 나뉘어지다 완성되지 못하여 붙은 경우를 쌍생치, 2개의 독립된 차아가 자라나는 과정에서 붙어버린 경우를 융합치라고 합니다.

이러한 쌍생치와 융합치는 치아의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데에 있어서는 무리가 없지만 치아가 붙어있는 부위에 깊은 홈이 있는 경우가 많아 충치의 발생률을 높이게되며 융합치는 영구치가 날 때 높은 확률로 영구치가 하나 혹은 두개가 모자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는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아기 이 날때 증상 및 아기 이앓이 대처법

 

주된 증상으로 침을 많이 흘리고 손가락을 물며 평소보다 잠투정이 심하고 짜증을 많이 내게 됩니다.

또한 이가 나는 자리에 작열감을 느끼며 간혹 전신적인 발열로 이어지기도 한다는 점 유의하셔야하며 간지러움을 완화할 수 있도록 치발기등 고무링 같은것을 물려주는것이 좋습니다.

Tip, 냉장고 안에 넣어두었다 시원하게하여 물려주면 통증을 줄이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됩니다.

 

 

아기 치아 우식증

 

치아 우식증은 치아의 표면에 칼슘과 인 같은 무기질이 빠져나가고 그 속의 단백질이 용해되어 치아가 파괴되는 현상을 이야기하며 쉽게 말해 충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3세 이전의 아기들에게서는 잠들기 전 모유 혹은 분유, 이유식 등이 입안에 남아 있게되어 충치가 발생하게되며 태어날 때 저체중이었거나 영양 상태가 좋지 못했던 아기들은 유치의 법랑질이 약할 가능성이 높기에 세심하게 관찰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아기 유치 빠지는 시기

 

이렇게 완성된 유치열은 영구치가 날 때 즈음인 만 6세 ~ 만 7세 즈음부터 빠지기 시작합니다.

순서는 가운데 앞니가 가장 빨리 빠지게 되며 그 후 아래턱 가운데 앞니가 2개, 위턱 가운데 앞니가 2개가 빠집니다.

만 8세가 되기 전, 가운데 앞니의 옆에 있는 작은 앞니가 빠지게되며 9세 무렵 어금니가 빠지기 시작하며 어금니가 빠진 후 아래턱쪽에있는 유치 송곳니가 빠지게되고 위턱 송곳니가 빠지게 됩니다.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바로 올라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유치가 일찍 빠졌다고하여 영구치가 빨리 나오는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6개월 이상이 지났는데도 영구치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지금도 유치같은 경우에는 가정에서 실로 빼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데 내가 어렸을 시절에는 치과를 가는 부모들이 많이 없었던것 같습니다.

요새는 집에서해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실로 이빨을 뽑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지만 제가 어렸을때는 그냥 대충 묶어서 하면 되지~ 식이였고 아랫니를 실로 묶은 후 반대쪽을 방문에 걸어서 문을 확 잡아땡기며 이를 뺀 기억이 있네요.

상당히 충격적이고 매우 아팠기 때문에 수십년이 지난 지금에도 아직 기억이 나는 거겠지..

그렇게 뺀 후 자란 아랫니는 당연히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했고 지금은 아랫니 치열이 우둘투둘하여 밥만 먹고나면 음식물이 끼여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살아온 세월이 있어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 리우는 아빠처럼 이런 일 없이 잘 관찰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과를 방문하여 이쁜 치열이 완성되도록 해주어야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영아 산통 | 직접 겪어본 영아산통 후기 + 해결방법 5

 

| 영아 산통 | 직접 겪어본 영아산통 후기 + 해결방법 5

주로 저녁이나 새벽이지만 특정 시간대가없이 발작적인 울음과 보챔을 하루에 3시간, 일주일에 3회 이상 하게되면 이를 영아산통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생후 6주 쯤부터 나타나는 영아산통은 6

goldfatherkim.tistory.com

 

| 2023년 부모급여 | 영아수당? 이제는 부모급여로! 지급대상, 신청방법, Q&A

 

| 2023년 부모급여 | 영아수당? 이제는 부모급여로! 지급대상, 신청방법, Q&A

22년 8월 30일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확정되었던 2023년 예산안 주요내용에는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로도 이야기했던 저출산 대응을 위한 안정적 양육환경 지원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goldfatherkim.tistory.com

 

| 아기 잠투정 해결방법 5 | 올바른 수면교육 방법

 

| 아기 잠투정 해결방법 5 | 올바른 수면교육 방법

"드디어 잠들었나?" 애니메이션의 전형적인 클리셰 중 하나인 '해치웠나' 는 육아에서도 적용이 되는것 같습니다. 밤이고, 낮이고 할것없이 울어대는 아기는 드디어 잠들었나? 해서 누이면 난리.

goldfatherkim.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