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 2023년 공무원 월급표 | 9급, 7급, 5급 공무원 봉급표, 연도별 월급 비교

by 약학박사 약박사 2023. 2. 11.
728x90


작년 9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3년도 공무원 봉급 예산안은 임금 인상률이 1.7% 였습니다.
이에 전국공무원노조는 국민청원을 올리고 투쟁결의를 하는 등 공무원 연금법 개정 입법 청원을 올렸습니다.
국정과제등의 정부 핵심사업 재원 배분을 위해 나라 살림을 전체적으로 조이게되며 공무원 인건비를 보수적으로 책정했던 정부는 1월 3일 국무회의에서 새로운 공무원 보수 규정 및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내놓습니다.

공무원 연봉 인상률 보도자료. 출처 - 인사혁신처


개정안에 따르면 5급 이하 공무원의 보수는 1.7% 인상, 관리직급인 4급 이상의 공무원 보수는 동결, 장·차관급 이상의 정무직 공무원은 연봉의 10% 상당을 기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열악한 하위 실무직 공무원과 현장직 공무원의 처우를 개선하는 의미에서 9급 1호봉의 봉급액을 3.3% 추가인상하여 5%만큼 인상시키고 8급과 9급 공무원의 직급 보조비를 2만원 인상, 사병들의 월급과 소방령, 경정 이하의 소소방·경찰 실무직의 봉급도 공안직 공무원 수준으로 인상한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9급 공무원 월급


그리하여 완성된 2023년 9급 공무원 봉급 인상률 입니다.
9급 공무원의 월급은 2019년 159만 2천 4백원에서 2020년에는 164만 2천 8백원으로 약 3.2% 인상, 2021년에는 165만 9천 5백원으로 약 1% 인상, 2022년에는 168만 6천 5백원으로 약 1.6% 인상, 2023년에는 171만 5천 1백원, 약 1.7% 인상안이 아닌 177만 8백원인 약 4.99% 인상된 월급을 받게 됩니다.

7급 공무원 월급


이번에는 경사, 교위, 소방장, 위관급 장교들의 봉급인 7급 공무원 봉급표를 한번 볼까요?
국가정부의 주도사업 중 70% 이상을 진행시키고있는 공무원의 허리라고 불리는 7급 공무원의 경우 전년도 192만 9천 5백원에서 1.7% 인상된 196만 2천 3백원을 월급으로 받게 됩니다.
2021년에는 1%, 2022년에는 1.6%가 올랐으며 전 직렬에서 최저임금이나 물가상승률에 비해 너무 낮은 인상률에 다소 실망스러우실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공무원 직급보조비, 공무원 자녀수당


생각보다 적은 월급에 에게? 하실분들이 계실테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직급보조비가 인상되며 7급의 직급보조비의 경우 기존 16.5만원에서 18만원으로 인상, 그 외 가족수당, 정보수당, 추가 근무시 시간외수당 등의 기타 수당들과 실비변상등을 모두 포함하면 실수령액이 예상보다 작지않으심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경험담에 따르면 일선에서 근무하는 7급답게 업무량이 많고 야근의 빈도가 높아 시간외수당이 상당하다고..)

5급 공무원 월급


마지막으로 공개경쟁채용시험의 마지막이자 일반 공무원들의 진급한계선이라 불리는 5급 공무원 봉급표 입니다.
주무관이 아닌 사무관이라 불리기 시작하는 5급 공무원 1호봉의 봉급은 265만 7백원으로 2022년의 260만 6천 4백원에서 1.7% 인상되었습니다.
기본급이 높은편이기에 앞서 이야기했던 여러 수당들을 포함하게된다면 확실히 7급 공무원이랑 차이가 클것이라 봅니다.

어렸을때는 공무원이라하면 나랏일 하는 사람이구나~ 했던것 같습니다.
대학교를 올라갈때 쯤, 월급을 저렇게 적게 받는데 왜 다니나? 라고 생각했던것 같네요.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뭐? 월급보다 받는게 그렇게나 더 많아? 이랬던것 같네요.
지금요? 역시 뭐니뭐니해도 나랏밥담긴 철밥통이 최고지^^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무원 준비를 하고 계시는 분들, 이미 임용되시고 실무를 하고 계시는분들 모두 화이팅하시고 오늘 하루도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 2023년 기준중위소득표 | 기초생활 보장제도, 난방비 지원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2023년 기준중위소득표 | 기초생활 보장제도, 난방비 지원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최근 전국적인 한파와 에너지 가격 상승의 여파로 난방비가 크게 오르며 정부에서는 취약 계층에대한 난방비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여기서 취약계층이란 기초생활수급자를

goldfatherkim.tistory.com

728x90

댓글